AWS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계정부터 만들어야 겠지요?
이 페이지에서는 AWS 계정을 만드는 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1. 계정만들기
01 ) 먼저, 아마존 웹 서비스(이하 AWS) 사이트에 접속합니다
콘솔 로그인창으로 바로 접속하셔도 무방합니다.
콘솔창으로 바로 들어오신분은 [AWS계정 새로만들기]를 클릭합니다
0 2 ) AWS 계정 생성 페이지로 들어옵니다.
필요한 빈칸을 모두 입력하여 줍니다.
이메일주소, 암호, 사용자가 지정하는 계정이름을 적고 하단의 주황색 버튼을 누릅니다.
0 3 ) 연락처 정보를 기입합니다.
우편번호는 나중에 비밀번호를 찾을때 사용될 수 있으니 따로 메모해두기를 권장해 드립니다.
추가적으로 해당사항은 영문으로 기입하여 주시길 바랍니다.
0 4 ) 결제정보를 입력합니다.
AWS 가입을 하는데 유료이진 않지만 서비스들을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방식이기에
미리 결제할 카드를 지정해야 가입이 됩니다.
AWS같은경우 1년간 Free-tier로 정해진 규격내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하니때문에
Free-tier로 지원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. (추가적인 비용이 나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)
AWS Free-tier란? : https://aws.amazon.com/ko/free/faqs/?ft=nf
Free-tier 지원영역 확인하기 : https://aws.amazon.com/ko/free/
0 5 ) 전화번호 인증을 거칩니다.
0 6 ) 지원플랜을 선택합니다.
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플랜을 선택합니다.
우선을 기본플랜으로 가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0 7 ) 완료창 확인
가입이 잘 되었나 확인을 하기 위해 콘솔창으로 로그인을 해봅니다.
가입하였던 이메일과 암호를 입력하여 줍니다.
처음 가입하였을 시 루트 사용자가 되기때문에 상단에 루트사용자 로그인인지 확인하고 접속을 해줍니다.
입 시 내가 지정해준 이름으로 잘 로그인이 된걸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
친절히 AWS측에서 가입축하 메일도 보내줍니다^0^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기초시리즈 #4 - AWS VPC를 구성해보자 - VPC란? (1) | 2020.06.05 |
---|---|
AWS - Cloudwatch custom metric을 이용한 Monitoring (Memory, Disk 사용량 확인) (0) | 2020.06.04 |
AWS - EC2 인스턴스 Auto Scheduled 백업 및 삭제방법 (0) | 2020.06.01 |
AWS 기초시리즈 #3 - AWS IAM 계정생성 (0) | 2020.04.25 |
AWS 기초시리즈 #1 - AWS 시작시 알아야 하는 용어 (0) | 2020.04.24 |